자동차공학3 차량동역학 [1/4차량모델 (Quarter-Car Model)] 이 단원에서는 첫번째로 자동차의 진동, 안락함 등을 진동 모델을 알아보고, 차량의 1/4모델을 동역학적으로 유도해보겠습니다. 자동차에서 진동은 여러 원인에 의해 생겨납니다. 예를 들어, 엔진 진동, 브레이크와 클러치의 마찰 진동, 울퉁불퉁한 노면과 고르지 않는 타이어의 경우가 있습니다.위 표는 자동차에 미치는 진동들의 특성을 보여줍니다. 이 표를 통해서 대략 어떤 주파수 영역대의 진동이 자동차에 전달되는지 알수있고, 검은 동그라미는 자동차에 영향을 높게주는 변수들을 의미합니다. 자동차의 진동을 시물레이션 하기위해서 자동차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이때 이 시스템은 자동차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한 진동모델입니다. 예를 들면, 입력값으로 울퉁불퉁한 노면의 높이, 자동차의 속도 등을 정하면, 이 .. 2023. 1. 19. 차량동역학 [휠 역학(Wheel Dynamics)] 이 단원에서는 구름저항, ABS 그리고 휠 모델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2.1 - Rolling Resistance (구름저항)구름저항 (Rolling Resistance)은 타이어의 변형과 주로 타이어의 변형과 마찰을 통한 에너지 소산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 단단한 포장 도로의 저속에서 구름 저항은 주요 운동 저항력입니다. 실제로 공기역학적 저항은 80-90km/h의 속도에서 구름 저항과 같아집니다.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내고, F_r은 차량 속도의 다항식 함수로 표현되는 구름 저항 계수입니다.근사값:그림은 림 직경이 12-16인치 인 다양한 자동차 타이어의 구름 저항 계수를 보여줍니다. 약어의 첫 글자는 각 타이어 유형의 허용 속도 범위를 나타냅니다(S: ~ 180km/h 까지, H: ~ 21.. 2023. 1. 10. 차량동역학 [타이어] 1.1 - 타이어 디자인 및 명칭그림은 일반적으로 타이어에서 볼 수 있는 타이어 규격을 보여줍니다. 첫 번째로타이어 유형은 P (승용차 용), T (임시용), C (상용차용)로 나눠집니다. 그 다음 195는 타이어의 폭을 나타내며, 이는 일반적으로 mm로 표현됩니다. 일반적으로 타이어를 림에 장착하고 규정된 공기압을 주입한 후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측면 사이드월 간의 최대 거리를 나타냅니다. 그 다음 65라는 정보는 편평비를 의미합니다. 편평비란 타이어의 높이와 최대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. 타이어 높이는 타이어의 총 외경에서 림의 경을 뺀 후 ½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. 편평비의 숫자가 클수록 림이 크고, 타이어가 얇아보입니다. 편평비 다음으로는 타이어 종류가 표시됩니다. 타이어의 종류로는 래디.. 2023. 1. 10. 이전 1 다음